server

Upptime을 이용한 간단한 서버 모니터링

지제로 2023. 5. 22. 22:57

다양한 서버 모니터링이 있지만 Upptime을 이용해서 서버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습니다.

 

사용한 이유

1. 간단한 모니터링을 하고 싶어서

2. 수시로 알아서 진행되는 모니터링을 하고 싶어서

3. 큰 리소스가 들지 않는 편에서 하고 싶어서

4. 서버 상태를 확인하고 싶어서 

 

위의 이유로 upptime을 설정하였습니다.

 

 

https://github.com/upptime/upptime 이 사이트로 접속합니다.

 

Create a new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.

 

모니터링을 하고 싶은 그룹이나 사용자에 Repository를 설정합니다.

 

initial commit이란 말과 함께 기본적인 환경이 설정되었습니다.

 

이제 모니터링을 원하는 사이트에 실행하겠습니다.

 

.upptimerc.yml을 수정하겠습니다. 

# Change these first
owner: 해당그룹이름/사용자이름 # Your GitHub organization or username, where this repository lives
repo: 해당 레포지토리 이름 

sites:
  - name: README에 보여질 이름
    url: 모니터링하고 싶은 사이트 
    method: GET
    expectedStatusCodes:
      - 200
    

assignees: # Users to assign downtime issues (optional)
  - 사용자이름 

status-website:
  # Add your custom domain name, or remove the `cname` line if you don't have a domain
  # Uncomment the `baseUrl` line if you don't have a custom domain and add your repo name there
  baseUrl: /레포지토리 이름
  logoUrl: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upptime/upptime.js.org/master/static/img/icon.svg
  name: 상태 사이트 상단에 보여질 이름 
  introTitle: "상태 사이트에 보여질 이름"
  introMessage: 상태 사이트에 보여질 소개글
  navbar:
    - title: Status
      href: /
    - title: GitHub
      href: https://github.com/해당레포지토리주소

# Upptime also supports notifications, assigning issues, and more
# See https://upptime.js.org/docs/configuration

 

이렇게 수정하고 난 후에 생긴 사이트입니다.

 

또한  README 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