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* process란? ->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메모리에 올라간 프로그램을 뜻한다. ->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생길 수 있다. 1. process 개념 프로세스는 여러 부분으로 구분되며 stack, heap, data, text로 이루어져있다. +) data 안에서도 initialized data와 uninitialized data로 구분된다. 2. process state new - 처음 만들어졌을 때 생성된 상태 ready - 준비 작업이 끝난 실행 가능한 상태 run - 지금 CPU에서 돌아가는 상태 wait - I/O 요청으로 인해 기다려야 하는 상태 terminate - 프로세스의 실행이 다 끝난 상태 3. PCB (process control block) PCB는 유지해야 하는..

+ system call - 사용자와 커널 사이를 연결해주는 매개체 1. User Interface - CLI를 통해서 command 터미널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다. => shell: 해석기 ex) BASH, cmd - 최근에는 GUI로 넘어온 추세이며 이는 사용자가 더 사용하기 편리하다. - TSUI (Touch Sreen User Interface) 2. System Call - OS에서 서비스를 받고 싶으면 system call을 한다. => user mode에서 kernel mode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. 위의 그림처럼 커널에게 부탁해서 기능이 다시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. +) system call 구현 : user mode에서 함수가 실행되면 kernel mode에서 system ca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p
- Android
- 다음큰숫자
- 영어끝말잇기
- 응답코드
- PostgreSQL
- ubuntu
- 시스템콜
- springboot
- 정수삼각형
- 최솟값구하기
- 최고의집합
- AWS
- interrupt
- 우분투설치
- 머신러닝
- Auditing
- 이진변환반복하기
- 프리티어
- 뉴스클러스터링
- RDS
- 실패율
- qemu
- 백준
- 괄호회전하기
- OS
- 운영체제
- PasswordEncoder
- xv6
- 프로그래머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